스마트폰으로 영상을 보다 보면, 소리가 작게 들리거나 배경음이 섞여 잘 알아듣기 힘들었던 경험이 한두 번쯤 있으실 겁니다. 특히 어르신들처럼 청력이 예전만 못해진 경우, 영상에 집중하기 위해 눈과 귀를 동시에 써야 하다 보니 쉽게 피로해지기 마련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자막은 커다란 도움이 됩니다.
자막은 단순히 소리를 문자로 바꿔주는 기능만 있는 게 아닙니다. 때론 놓친 단어를 다시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속삭이듯 작은 소리도 글로 확인할 수 있어 내용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든든한 조력자입니다. 특히 뉴스, 건강 정보, 유튜브 강연처럼 중요한 내용을 담은 영상일수록 자막이 있으면 정보의 누락 없이 정확하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어르신은 자막이 있는 영상만 골라 보려고 하거나, 자막이 켜지는 법을 몰라 자막 기능을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막 있는 영상만 따로 골라야 하는 거 아니야?”, “어떻게 자막을 키는지 몰라서 그냥 소리만 들어요”라는 말씀을 자주 듣곤 합니다. 이제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어르신들이 손쉽게 영상 자막을 켜는 방법, 자막을 자동으로 표시하는 설정법, 자막이 없는 영상도 도움받을 수 있는 방법 등을 순서대로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스마트폰이 어르신의 눈과 귀가 되어줄 수 있도록 돕는 ‘자막’이라는 기능, 이제는 꼭 한 번 배워두셔야 할 기본 기술이 되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유튜브 자막 켜는 방법 → 어르신도 단순하게 따라 할 수 있어요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보는 플랫폼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유튜브’입니다. 유튜브에서는 대부분 영상에 자막 기능이 포함되어 있고, 이 자막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켜고 끌 수 있습니다. 어르신도 몇 번만 해보면 아주 쉽게 익히실 수 있는 기능입니다.
먼저 유튜브 앱을 실행하고, 보고 싶은 영상을 하나 선택해 터치합니다. 영상이 재생되는 화면에서 오른쪽 위나 아래에 점 세 개(또는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이 보이는데, 이 아이콘을 누르면 메뉴가 펼쳐집니다. 그 안에 ‘자막’ 또는 ‘CC’라고 적힌 항목이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자막 설정 기능입니다.
‘자막’ 버튼을 누르면, ‘한국어’, ‘자동 번역’, ‘끄기’ 등의 선택지가 나오는데, 이 중에서 ‘한국어’를 선택하면 영상 안에 말소리가 자막으로 함께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만약 한국어 선택이 없다면 ‘자동 생성’이라는 항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유튜브가 소리를 듣고 자막을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기능인데, 정확도는 다소 떨어질 수 있으나 없는 것보다는 훨씬 이해가 쉬워집니다.
또한, 화면을 조금 더 크게 보시고 싶다면 영상 하단의 전체화면 아이콘(네모 모양)을 누르면 영상이 스마트폰 전체 화면으로 전환되며 자막도 커지게 됩니다. 자막 글씨가 너무 작다고 느끼시는 경우에는, 이후 설명할 ‘글자 크기 조정’ 기능도 함께 활용하시면 훨씬 편안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전체 자막 기능 켜기 → 어르신 눈높이에 맞는 전체 설정법
스마트폰에는 유튜브 같은 개별 앱이 아닌, 스마트폰 자체에서 자막을 항상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기능도 존재합니다. 이 기능은 영상이 재생될 때마다 매번 자막을 켜지 않아도 되도록 도와주는 매우 편리한 기능입니다. 특히 노부모님과 같이 반복 설정이 어려우신 분들께 큰 도움이 됩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기준으로 설명해 드리자면, 먼저 홈 화면에서 ‘설정’ 앱을 엽니다. 그다음 ‘접근성’ 또는 ‘보조기능’이라는 항목을 찾아 터치합니다. 이 메뉴 안에는 시력, 청력 등 어르신의 신체 조건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모여 있는데, 여기서 ‘자막’ 또는 ‘자막 설정’ 항목을 찾습니다.
자막 메뉴를 열면 ‘자막 사용’ 스위치를 ‘켜기’로 변경하면 자막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이후 ‘자막 글자 크기’, ‘자막 색상’, ‘배경 색상’, ‘글꼴 모양’ 등을 고를 수 있는데, 어르신의 눈에 잘 띄도록 ‘큰 글씨’, ‘노란색 글자에 검은 배경’ 같은 조합을 추천해 드립니다. 이는 시력이 좋지 않은 분도 눈의 피로 없이 글자를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아이폰을 사용하시는 어르신은 ‘설정 → 손쉬운 사용 → 자막 및 청각’ 항목으로 들어가면 유사한 자막 설정이 가능합니다. 스마트폰 대부분이 ‘청각이 약한 사용자’를 위해 만들어진 이 자막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기종에 상관없이 어르신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막을 한 번 설정해 두면 이후에 유튜브나 영상 앱을 사용할 때 자동으로 자막이 함께 나옵니다. 영상 재생 시 매번 설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기술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께는 매우 유용한 설정 방법입니다.
자막이 없는 영상도 돕는 ‘자막 보조 앱’ - 어르신이 더 쉽게 정보를 얻는 방법
유튜브나 뉴스 앱에서는 자막이 포함된 영상이 많지만, 어떤 영상들은 자막이 전혀 없는 때도 있습니다. 이런 영상들도 어르신이 쉽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특별한 앱들이 있습니다. 바로 ‘자막 생성 앱’ 또는 ‘실시간 음성 텍스트 변환 앱’입니다.
대표적인 앱으로는 ‘Live Transcribe(라이브 트랜스크라이브)’, ‘Otter.ai(오터)’ 같은 앱이 있습니다. 이 앱들은 영상이나 사람의 말을 스마트폰 마이크로 듣고, 이를 자동으로 글로 바꿔주는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어르신이 자막 없는 영상이라도 이 앱을 함께 켜두면 말소리를 실시간으로 문자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강연 영상을 보면서 Live Transcribe 앱을 실행하면, 화면에 말하는 내용을 거의 실시간으로 자막처럼 표시해 줍니다. 특히 병원 건강정보나 종교 설교 영상처럼 놓치지 말아야 할 영상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싶을 때 매우 유용합니다.
이러한 앱들은 대부분 무료이며,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한글로 ‘음성 자막’이라고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사용법도 단순해서 앱 실행 후 ‘시작’만 누르면 바로 자막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고령층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앱도 많아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어르신을 위한 자막 글씨 크기, 색상 조정 팁 - 스마트폰 글자도 눈에 잘 띄게
자막이 있어도 글씨가 작으면 보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백내장이나 노안이 있는 어르신들은 작고 얇은 글씨가 눈에 잘 들어오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막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글씨 크기와 색상을 반드시 조정해줘야 합니다.
앞서 설명한 스마트폰의 자막 설정 메뉴에서 ‘글자 크기’를 ‘아주 크게’로 설정하면 전체 자막이 큼지막하게 표시되어 눈의 부담이 많이 줄어듭니다. 색상 조정에서는 노란색 글씨에 검은 배경, 혹은 흰색 글씨에 짙은 회색 배경이 가장 눈에 잘 띄고 시력이 약한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자막 위치도 변경할 수 있는데, 하단에 나오는 자막이 불편하다면 상단으로 위치를 바꾸는 것도 가능합니다. 유튜브에서는 톱니바퀴 메뉴 안의 ‘자막 설정’에서 자막 크기, 배경 투명도 등을 조정할 수 있는 고급 설정 기능이 있습니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자체의 전체 글꼴 크기를 키우면 자막뿐 아니라 스마트폰 사용 전체가 더 편해집니다. 설정 → 디스플레이 → 글꼴 크기에서 ‘가장 크게’로 바꾸면 전화, 문자, 카카오톡 글자도 커져서 어르신이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훨씬 편리함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어르신도 자막 기능으로 스마트폰 영상을 똑똑하고 편하게 즐기세요
스마트폰 자막 기능은 어르신의 영상 생활을 크게 바꿔주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소리가 잘 안 들릴 때, 놓친 내용을 다시 확인할 때, 주변이 시끄러워도 영상을 이해하고 싶을 때, 자막은 어르신에게 꼭 필요한 디지털 도우미입니다.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아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한두 번만 시도해보면 금방 손에 익습니다. 자녀나 손주의 도움을 잠깐만 받아도 자막 설정은 순식간에 완료됩니다. 이후엔 어르신 스스로 자막을 켜고 끄며 더 편안하게 영상을 즐기실 수 있게 됩니다.
이제는 자막 없는 영상을 억지로 귀 기울여 듣지 않으셔도 됩니다. 스마트폰 속 ‘자막’ 기능을 활용하면 어르신도 정확하고 편하게, 놓치지 않고 영상 속 내용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스마트폰 자막 기능으로 더 똑똑하고 즐거운 영상 생활을 시작해 보세요.
'고령층을 위한 스마트폰 앱 사용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르신을 위한 스마트폰으로 유튜브 화면 없이 음악만 듣는 쉬운 방법 (0) | 2025.07.07 |
---|---|
어르신도 직접 할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사진 인화 주문하는 방법 (0) | 2025.07.07 |
어르신을 위한 스마트폰 잘못 눌렀을 때 복구기능 배우기 (0) | 2025.07.06 |
잃어버린 휴대폰, 어르신도 직접 찾을 수 있어요: 찾기 기능 사용법 (0) | 2025.07.06 |
어르신을 위한 스마트폰 문자 자동응답 설정하는 방법 (0)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