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은 단순한 기계를 넘어서, 이제는 어르신들의 ‘마음 창’이 되었습니다. 가족과 자주 만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손주나 자녀 얼굴을 매일 보고 싶을 때, 사진을 인쇄하지 않고도 스마트폰 배경화면에 설정해두면 늘 함께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은 어르신이 스마트폰을 켤 때마다 손주의 환한 웃음을 보고 싶어 하고, 누군가 전화를 걸 때 가족 얼굴이 보이길 바랍니다. 그런데 막상 가족사진을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려고 하면, 사진이 잘리거나 크기가 맞지 않거나, 잠금화면과 홈 화면이 똑같이 바뀌어 불편하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사실 스마트폰에서는 배경화면과 잠금화면을 각각 따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고, 가족사진의 위치와 크기도 조절할 수 있어 화면을 아름답고 따뜻하게 꾸미는 일이 어렵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어르신 눈높이에 맞춰, 가족사진을 스마트폰의 배경화면과 잠금화면에 각각 설정하는 방법, 사진 잘리는 현상 해결, 화면별 꾸미기 요령, 실수 복구 방법까지 차근차근 알려 드립니다. 작은 설정 하나로 큰 감동을 만드는 방법,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배경화면, 잠금화면의 차이와 어르신에게 주는 의미
1. 배경화면과 잠금화면은 서로 다른 기능입니다
많은 어르신이 ‘배경화면’과 ‘잠금화면’을 헷갈리십니다. 간단하게 구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잠금화면: 스마트폰을 켰을 때 처음 보이는 화면. 아직 잠금이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나오는 화면입니다.
- 배경화면: 스마트폰 잠금을 풀고 나서 홈 화면(앱들이 모여 있는 곳)에서 보이는 배경입니다.
이 둘은 서로 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잠금화면에는 자녀 사진, 배경화면에는 손주 사진을 설정하는 식으로도 가능합니다.
2. 어르신께는 잠금화면 사진이 더욱 자주 보입니다
잠금화면은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마다 가장 먼저 보게 되는 화면입니다. 그러므로 중요하거나 위로가 되는 사진을 이곳에 설정하면 매번 감동이 새로워집니다. 특히 혼자 계실 때, 지치거나 외로울 때 화면 속 가족의 얼굴은 큰 위안이 됩니다.
3. 배경화면은 화면 전체와 앱 배치에 영향을 줍니다
배경화면은 앱 아이콘 아래에 깔리는 배경 이미지이기 때문에, 색깔이나 밝기에 따라 앱이 잘 안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배경화면에는 배경이 심플한 가족사진, 또는 풍경과 인물이 조화를 이룬 사진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4. 화면마다 사진을 다르게 설정하면 기분 전환에 도움됩니다
하나는 가족사진, 다른 하나는 여행 사진이나 꽃 사진을 넣는 식으로, 잠금화면과 배경화면을 따로 설정하면 화면이 덜 지루하고, 기분 전환에도 도움이 됩니다.
어르신이 가족사진을 잠금화면에 설정하는 단계별 방법
1. 갤러리에서 사진을 선택하여 바로 설정하는 방법
① 스마트폰에서 ‘갤러리’ 또는 ‘사진’ 앱을 엽니다.
② 설정하고 싶은 가족사진을 찾고, 해당 사진을 길게 누르거나 열어봅니다.
③ 화면 오른쪽 위 또는 아래의 점 세 개(더 보기) 버튼을 누릅니다.
④ ‘배경화면으로 설정’ 또는 ‘배경으로 지정’을 선택합니다.
⑤ ‘잠금화면에 설정’을 누르면 해당 사진이 스마트폰 잠금화면에 적용됩니다.
※ 일부 스마트폰은 ‘홈 화면’, ‘잠금화면’, ‘홈+잠금화면’ 중 선택하라는 창이 뜨며, 이때 ‘잠금화면’을 정확히 선택해주셔야 합니다.
2. 설정 → 배경화면 메뉴에서 설정하는 방법
① 스마트폰의 ‘설정’ 앱을 엽니다.
② ‘배경화면’ 또는 ‘디스플레이’ 메뉴로 이동합니다.
③ ‘잠금화면 변경’ 또는 ‘배경 이미지 선택’을 클릭합니다.
④ ‘갤러리에서 사진 선택’을 눌러 원하는 가족사진을 고릅니다.
⑤ 미리 보기를 확인한 뒤 ‘설정 완료’를 누르면 적용됩니다.
이 방식은 사진을 미리 확대·축소하면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얼굴이 잘리거나 이미지가 늘어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화면에 맞게 사진 위치와 크기 조절하기
잠금화면은 화면 전체를 덮기 때문에, 사진 크기를 조절하지 않으면 가족 얼굴이 잘리는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사진 설정 창에서는 손가락 두 개를 이용해 사진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얼굴이 중앙에 오도록 위치를 조정해 주세요.
4. 화면이 흐리거나 아이콘이 안 보일 때 대처법
잠금화면이나 배경화면이 너무 밝거나 복잡하면 글자가 잘 안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사진을 흐리게(블러 처리) 해주는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도 있으며, 설정에서 ‘배경 밝기 조절’을 통해 시인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어르신이 가족사진을 홈 화면 배경화면으로 따로 설정하는 방법
1. 홈 화면에서 ‘길게 누르기’ 방식으로 설정하기
① 스마트폰의 홈 화면(앱들이 보이는 첫 화면)에서 빈 곳을 길게 눌러주세요.
② 하단에 ‘배경화면’ 또는 ‘배경 변경’ 메뉴가 나타납니다.
③ ‘갤러리에서 선택’을 누르고, 가족사진을 고릅니다.
④ ‘홈 화면에 설정’을 누르면 완료됩니다.
※ 잠금화면과 달리, 앱 아이콘과의 조화를 고려해 밝고 깔끔한 사진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여러 가족사진을 배경화면 슬라이드쇼로 설정하기
일부 스마트폰에서는 여러 장의 사진을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바꾸는 ‘슬라이드쇼 배경화면’ 기능도 지원합니다.
① 배경화면 설정에서 ‘슬라이드쇼’, ‘다중 이미지’, ‘앨범 배경화면’ 등을 선택합니다.
② 가족사진 여러 장을 선택하면, 3분~1시간 단위로 자동 변경되는 화면이 설정됩니다.
③ 매시간 다른 가족 얼굴이 나오니, 지루하지 않고 늘 새로운 기분이 듭니다.
3. 배경화면 크기에 맞게 사진 편집하는 팁
사진 크기가 너무 작으면 늘어나고, 너무 크면 잘릴 수 있습니다. 가족사진을 촬영할 때는 가로로 찍고, 상하 여백이 있는 사진이 배경화면에 가장 잘 맞습니다.
앱을 이용해 사진을 자르거나, 검정 배경을 넣어주는 방식으로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 설정하면 더 보기 좋습니다.
어르신을 위한 실수로 바뀐 화면 복구하기, 배경화면 변경 응용법
1. 이전 배경화면으로 되돌리는 방법
가끔 가족사진을 잘못 설정하거나, 화면이 엉뚱하게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① ‘설정’ → ‘배경화면’ 메뉴로 들어가
② ‘이전 배경화면으로 복원’ 또는 ‘기본 배경화면으로 변경’ 옵션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또는 자녀가 예전에 설정해준 사진을 갤러리에서 다시 불러와 재설정하시면 됩니다.
2. 자녀나 손주에게 설정 부탁하는 방법
처음이 어렵다면 자녀에게 “잠금화면에 손주 사진 좀 넣어줘”라고 요청해보세요. 어르신이 손수 스마트폰을 꾸미려는 모습에 가족들도 더 기뻐하며 적극 도와드릴 것입니다.
또한 자녀가 갤러리 앨범을 정리해줄 수도 있어, 사진 찾기도 더 쉬워집니다.
3. 특별한 날에 맞춘 배경화면 꾸미기
어버이날, 손주의 생일, 결혼기념일 등 특별한 날에는 그날에 맞는 사진을 설정해보세요. 가족의 메시지를 담은 이미지, 예쁜 그림을 넣으면 그날 하루가 더 특별해집니다.
또는 계절별로 봄엔 꽃 사진, 겨울엔 눈 오는 사진 등으로 변경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가족사진과 함께 위젯 기능 활용하기
일부 스마트폰에서는 갤러리 위젯 기능을 통해 가족사진을 화면에 고정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배경화면이 바뀌더라도 가족사진은 늘 홈 화면 한쪽에 보이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손주 사진을 자주 보고 싶을 때 추천해 드립니다.
가족사진은 어르신의 손안에 있는 따뜻한 응원입니다
스마트폰을 켤 때마다 만나는 가족의 얼굴, 잠금화면 속 웃고 있는 손주의 미소는 어르신의 하루를 위로하고 웃게 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가족사진을 화면에 설정하는 일은 단순한 기능이 아니라, 삶의 작은 감동을 매일 선물하는 디지털 가족앨범이 됩니다.
이제는 사진을 인화하지 않아도, 앨범을 꺼내지 않아도 언제든지 사랑하는 얼굴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 이 글을 보신 후, 바로 가족사진을 배경화면으로 설정해보세요. 그리고 매일 스마트폰을 켤 때마다 “나는 혼자가 아니다”는 따뜻한 마음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고령층을 위한 스마트폰 앱 사용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르신을 위한 스마트폰 공문·문서 확인 방법 - 정부24, 민원 앱으로 집에서 간편하게 (0) | 2025.07.20 |
---|---|
어르신을 위한 스마트폰 보이스 메모 사용법 (0) | 2025.07.19 |
어르신 스마트폰에 스팸 문자·전화 차단하는 방법 (0) | 2025.07.19 |
어르신을 위한 스마트폰 문자 메시지 자동 읽어주는 기능 설정법 (0) | 2025.07.18 |
어르신을 위한 스마트폰으로 예배나 불공 영상 참여하는 방법 (0) | 2025.07.18 |